반응형
동학농민운동과 청일전쟁 직후, 조선은 일본의 영향 아래에서 급격한 개혁을 추진하게 됩니다. 이를 ‘갑오개혁’이라 하며, 근대 국가를 향한 제도 개편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입니다. 그러나 외세의 개입 속에서 이뤄진 개혁은 국민적 지지를 받기 어려웠고, 왕권 약화와 저항도 함께 나타났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갑오개혁의 주요 내용과 기출 사료를 함께 정리합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72
갑오개혁 – 조선의 근대를 열다
📜 기출 사료 발췌
“신분의 구별을 없애고, 과거제를 폐지하며, 재정과 행정은 모두 국왕이 아닌 각 부에서 관장하도록 한다.”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갑오개혁에서 발표된 '개혁 정강'의 핵심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신분제 폐지, 과거제 폐지, 왕권 제한, 근대적 관료제 도입 등은
조선이 근대 국가 체제로 전환하려 했음을 보여주는 조치들입니다.
개혁은 **1차(1894.6) → 2차(1894.11) → 3차(1895.5)**로 나뉘며,
점차 일본 중심 개혁 → 독립적 자주 개혁으로 방향이 이동합니다.
그러나 국민적 합의 없이 외세 주도로 이루어졌고,
을미사변과 단발령 등으로 이어지며 의병 운동의 도화선이 되기도 합니다.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는 어떤 개혁의 내용인가?
“신분의 구별을 없애고, 과거제를 폐지하며, 행정은 각 부에서 관장한다.”
① 홍경래의 난
② 갑신정변
③ 갑오개혁
④ 동학농민운동
➡️ 정답: ③ 갑오개혁
💡 확장 개념 정리
구분 1차 갑오개혁 (1894.6) 2차 갑오개혁 (1894.11) 3차 개혁 (1895.5)
주도 | 군국기무처 | 박영효, 일본 내각 | 친러 내각 (김홍집 등) |
주요 내용 | 과거제 폐지, 재정 일원화, 탁지아문 설치 | 신분제 폐지, 법률 제정·재판 분리 | 단발령, 태양력 도입 등 |
의의 | 근대 개혁의 출발점 | 제도적 신분 폐지 | 국민 반발 격화, 의병 발생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군국기무처: 1차 개혁 주도 조직
- 홍범 14조(2차 개혁 핵심): 조선 자주독립, 근대적 제도 확립 선언
- 교육입국조서(1895): 국가 주도의 근대 교육 제도 시도
- 을미사변 → 을미의병: 민족적 저항 확대
✍️ 정리 한 줄 요약
갑오개혁은 조선이 근대 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제도 개편이었으나, 일본의 주도와 민중의 반발 속에서 한계를 보였고, 이후 의병 운동의 배경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74강 - 아관파천과 독립협회 : 자주와 개혁을 외치다 (0) | 2025.04.17 |
---|---|
한능검 기출 73강 - 을미사변과 을미의병 : 명성황후 시해, 백성이 들고 일어나다 (0) | 2025.04.17 |
한능검 기출 71강 -동학농민운동 : 탐관오리 몰아내고, 외세 물리치자! (0) | 2025.04.17 |
한능검 기출 사료 70 - 거문도 사건과 조선 중립화론 : 열강 사이에서 길을 찾다 (4) | 2025.04.16 |
한능검 기출 사료 69 - 갑신정변(1884) : 조선 개화의 꿈, 3일 만에 무너지다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