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9세기 후반 조선은 일본과 청, 러시아, 영국 등 열강의 각축장이었습니다. 갑신정변 이후 청과 일본의 세력 다툼이 격화되는 가운데, 영국은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기 위해 조선의 거문도를 점령합니다. 이에 조선에서는 외세의 틈바구니에서 자주성을 지키기 위한 방안으로 ‘조선 중립화론’이 제기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거문도 사건과 중립화론의 배경과 내용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70
거문도 사건과 조선 중립화론 – 열강 사이에서 길을 찾다
📜 기출 사료 발췌
“조선을 둘러싼 열강의 다툼이 극에 달하자, 영국은 러시아의 남하를 막기 위해 우리 땅 거문도를 점령하였고, 조선은 열강의 틈바구니에서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중립 방안을 모색하였다.”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1885년 거문도 사건의 전말과, 그 대응책으로 제기된 조선 중립화론을 설명한 것입니다.
- 영국은 러시아가 조선에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거문도를 점령하였고,
- 조선 정부는 직접적인 대응이 어려운 상황에서 외교적 중립 선언을 통해 자주성을 지키려는 시도를 하게 됩니다.
조선 중립화론은 유길준, 부들러(독일 외교관), 김옥균 등이 주장했으며,
**“스위스처럼 열강이 조선을 침략하지 않도록 중립국으로 만들자”**는 이상적 제안이었으나
현실적인 지지를 받지 못해 실현되지 못했습니다.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는 어떤 사건 및 대응 방안을 나타내는가?
“조선을 둘러싼 열강의 다툼이 격화되자, 영국은 거문도를 점령하고 조선은 중립을 선언하려 하였다.”
① 강화도 조약
② 거문도 사건과 중립화론
③ 을미사변
④ 임오군란
➡️ 정답: ② 거문도 사건과 중립화론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내용
거문도 사건 | 1885년 영국이 러시아 견제 목적으로 거문도 불법 점령 (2년간) |
원인 | 러시아의 남하 정책, 청·일 대립 속 조선의 전략적 위치 |
결과 | 청과 영국 간 협상으로 철수 (1887년) |
조선 중립화론 | 유길준, 김옥균, 부들러 등이 제안 / 국제적 중립 보장 요청 |
한계 | 열강들의 이해관계 상 실현 불가 → 외교적 이상론으로 남음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부들러의 중립화론: 조선의 독립 보장을 위해 국제 중립국 설정 주장
- 유길준의 개화 외교론: 중립화론은 개화파 외교 전략의 일환
- 열강의 충돌 속 조선 외교: 자주 외교의 한계 명확
- 이후 전개: 청일전쟁(1894), 러일전쟁(1904) 등 조선은 결국 강대국 충돌의 무대가 됨
✍️ 정리 한 줄 요약
거문도 사건은 영국이 조선의 전략적 요충지를 점령한 사건이며, 이에 대응한 조선 중립화론은 외세 간섭을 피하고 자주성을 지키려는 외교적 시도였습니다.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72강 - 갑오개혁 : 조선의 근대를 열다 (0) | 2025.04.17 |
---|---|
한능검 기출 71강 -동학농민운동 : 탐관오리 몰아내고, 외세 물리치자! (0) | 2025.04.17 |
한능검 기출 사료 69 - 갑신정변(1884) : 조선 개화의 꿈, 3일 만에 무너지다 (0) | 2025.04.16 |
한능검 기출 사료 68- 임오군란(1882) :구식 군인의 분노, 민심의 폭발 (0) | 2025.04.16 |
한능검 기출 67 - 개화파 vs 위정척사파 : 문을 열 것인가, 닫을 것인가 (2)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