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오군란 이후 청의 내정 간섭이 강화되자, 급진 개화파는 일본의 지원을 받아 조선의 정치·사회 체제를 근본적으로 개혁하려는 정변을 시도합니다. 그러나 3일 만에 실패로 끝난 ‘갑신정변’은 조선 개화의 방향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준 사건이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갑신정변의 배경, 개혁 내용, 결과를 기출 사료와 함께 정리합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69
갑신정변(1884) – 조선 개화의 꿈, 3일 만에 무너지다
📜 기출 사료 발췌
“우리는 이제부터 인민의 평등권을 인정하고, 귀천과 직업을 구별하지 않으며, 재정과 군권은 국가가 통일해 운영한다.”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급진 개화파가 갑신정변을 통해 발표한 ‘14개조 개혁 정강’ 중 일부 내용입니다.
핵심은 신분제 철폐, 재정의 일원화, 지방 행정·군제 개편, 과거제 폐지 등으로,
근대 국가 체제로의 전환을 선언한 급진적 개혁안이었습니다.
정변은 1884년 우정국 개국 축하연을 계기로 개화파가 정변을 일으켜
3일간 정권을 장악했으나,
청군의 개입으로 곧 실패했고, 주도자들은 일본으로 망명합니다.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는 어떤 사건에서 발표된 개혁 내용인가?
“우리는 인민의 평등권을 인정하고, 귀천과 직업을 구별하지 않으며…”
① 임오군란
② 갑신정변
③ 갑오개혁
④ 동학농민운동
➡️ 정답: ② 갑신정변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내용
시기 | 1884년 |
주도 세력 | 급진 개화파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등) |
지원국 | 일본 (경비 병력 제공) |
개혁 내용 | 14개조 정강: 신분제 폐지, 과거제 폐지, 재정·군권 개혁 등 |
실패 원인 | 청군의 신속한 진압, 일본의 미온적 태도 |
결과 | 개화파 몰락, 청의 내정 간섭 심화, 한성조약 체결 (일본과의 보상 협상)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온건 개화파 vs 급진 개화파 구분
- 14개조 정강은 갑오개혁의 사상적 토대로 작용
- 청·일 세력 충돌 본격화의 시초 → 이후 청일전쟁(1894) 연결
- 한성조약(1885): 일본이 갑신정변 피해에 대한 보상 요구
✍️ 정리 한 줄 요약
갑신정변은 급진 개화파가 근대 국가 수립을 목표로 단행한 정변이었지만, 청군의 개입으로 3일 만에 실패하며 개화운동의 좌절과 청·일 갈등의 단초를 남겼습니다.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71강 -동학농민운동 : 탐관오리 몰아내고, 외세 물리치자! (0) | 2025.04.17 |
---|---|
한능검 기출 사료 70 - 거문도 사건과 조선 중립화론 : 열강 사이에서 길을 찾다 (4) | 2025.04.16 |
한능검 기출 사료 68- 임오군란(1882) :구식 군인의 분노, 민심의 폭발 (0) | 2025.04.16 |
한능검 기출 67 - 개화파 vs 위정척사파 : 문을 열 것인가, 닫을 것인가 (2) | 2025.04.16 |
한능검 기출 66 - 강화도 조약(1876) : 조선, 세계의 문을 열다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