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조선은 단군 조선 이후 위만 조선으로 이어지며 정치 체제를 강화했지만,
중국 한(漢)나라의 침략으로 결국 멸망하고 맙니다.
이 사건은 우리 고대사에서 첫 번째 '제국의 침략과 패망'이라는 중요한 전환점이었고,
이후 한사군 설치와 함께 한반도 북부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위만 조선의 성립, 무역 중심의 성장, 그리고 멸망의 결정적 사료를 살펴봅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102
위만 조선과 한 무제의 침략 – 외래 세력과 고대 국가의 충돌
📜 기출 사료 발췌
“위만은 번조선에서 망명해와 1,000여 명의 무리를 이끌고 동쪽으로 도망하였다. 준왕은 그를 박사로 삼고 서쪽 변경을 지키게 하였다. 위만은 병력을 모아 왕을 쫓아내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 《사기》 조선열전 中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중국 《사기》에서 전하는 위만 조선의 성립 과정을 설명합니다.
- 위만은 본래 연나라 사람(이민족)
- 조선(준왕)에 귀화 → 배신하고 왕위 찬탈
- → 새로운 왕조인 위만 조선 출범
즉, 위만 조선은 외래 세력에 의해 고조선 정통성이 무너지고,
무역 중심의 군사국가로 재편된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위만 조선의 특징
항목 내용
시기 | 기원전 194년경 |
창건자 | 위만 (중국 연나라 출신 망명자) |
수도 | 왕검성 |
특징 | 철기 보급 확대, 중계 무역 중심 국가 |
외교 정책 | 한나라와 외적 견제, 남쪽 진국과 교류 |
정치 구조 | 왕 중심의 중앙집권 체제 강화 |
📍 멸망과 한 무제의 침략
배경 내용
무역 독점 | 위만 조선이 중국-남방 사이 무역 독점 |
→ 한나라와 갈등 | |
왕검성 전투 | 기원전 109~108년, 한 무제가 침공 |
최후 | 우거왕 항복, 고조선 멸망 |
결과 | 한사군 설치 (낙랑, 진번, 임둔, 현도) |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는 어떤 역사적 상황을 설명한 것인가?
“위만은 조선에 망명해 박사가 되었고, 병력을 모아 왕을 쫓아내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① 고구려 건국
② 위만 조선 성립
③ 고조선 8조법 제정
④ 한사군 축출
➡️ 정답: ② 위만 조선 성립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설명
준왕 | 기존 고조선 왕, 남쪽으로 도망 → 진국(삼한 영역) |
한 무제 | 전한 제국의 팽창주의 외교 대표 인물 |
한사군 | 한나라가 식민 통치 위한 4개 군 설치 → 한반도 북부 지배 |
한반도 내 영향 | 중국식 군현제 도입, 이후 토착 세력과 충돌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중계 무역 중심 국가 → 외교·경제 중요성 확대
- 철기 확산 → 농업·군사력 강화
- 낙랑군 중심의 한사군 통치 → 삼국의 등장까지 영향 지속
- 고조선 멸망 이후 → 부여, 고구려 등 북방 민족 성장 배경
✍️ 정리 한 줄 요약
위만 조선은 외래 세력에 의해 성립된 철기 군사국가로, 중계 무역을 통해 성장했지만 한 무제의 침략으로 멸망하고, 그 자리에 한사군이 설치되며 중국의 직접 통치가 시작되었습니다.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104 -삼국의 건국과 국가 체제 성립 :고구려·백제·신라의 출발점 (0) | 2025.04.20 |
---|---|
한능검 기출 사료 103 - 철기의 보급과 여러 나라의 성장 : 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의 모습 (0) | 2025.04.20 |
한능검 기출 사료 101 - 고조선과 8조법 : 고대 국가의 법과 풍속을 엿보다 (0) | 2025.04.20 |
한능검 기출 100강 - 제6공화국의 출범과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 국민이 만든 나라 (2) | 2025.04.19 |
한능검 기출 99강 - 6월 민주항쟁과 6·29 선언 : 국민의 손으로 바꾼 민주주의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