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조선이 멸망한 이후, 한반도와 만주 지역에는 다양한 부족 국가들이 성장하기 시작합니다.
철기의 확산은 이들 나라의 정복 전쟁과 통치 제도의 발달을 촉진했고,
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 등은 각기 독특한 문화와 정치 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번 편에서는 철기 시대 이후의 대표 국가들과 그 사료들을 통해 성장 과정을 살펴봅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103
철기의 보급과 여러 나라의 성장 – 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의 모습
📜 기출 사료 발췌
“부여는 매년 12월에 영고(迎鼓)라는 제천 행사를 열며, 형벌은 엄격하여 도둑질한 자는 죽인다.”
“고구려는 대가들이 나라 일을 논하고, 10월에 동맹(東盟)을 연다.”
“옥저는 민며느리제라 하여 여자 아이를 어려서부터 데려와 자라게 하고, 장성하면 결혼하였다.”
“동예는 족외혼을 엄격히 지켰고,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중국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서 발췌된 것으로,
부여·고구려·옥저·동예 등 고조선 이후 성장한 여러 나라들의 사회·문화 특징을 생생하게 전해줍니다.
- 제천 행사 → 하늘에 제사, 농경사회 정착
- 혼인 풍습, 사회 규범 → 각 부족의 독자성
- 정치 구조와 형벌 → 국가로의 발전 기반 마련
📍 나라별 특징 요약
나라 특징 요약
부여 | 왕이 통치 / 형벌 엄격 / 12월 영고(제천 행사) / 순장 존재 |
고구려 | 대가(귀족)가 정치 참여 / 10월 동맹 / 무예 중시, 정복 활발 |
옥저 | 민며느리제 / 가족 공동묘 → 혈연 중심 사회 |
동예 | 족외혼 엄격, 씨족 사회 유지 / 10월 무천 |
삼한 | 제정 분리(신지·읍차) / 5월 수릿날, 10월 계절제 / 철기 생산 활발 |
📍 철기의 영향
항목 설명
확산 시기 | 기원전 2세기경 한반도 전역 |
주요 유물 | 철제 농기구, 철제 무기 |
효과 | 농업 생산력 향상, 정복 전쟁 가속 |
사회 변화 | 정치 권력 강화 → 연맹 왕국 등장 기반 |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중 ‘민며느리제’를 풍습으로 가진 나라를 묻는 문제의 사료는?
“어린 여자 아이를 데려와 장성하면 결혼시키며, 값을 치른다.”
① 부여
② 옥저
③ 동예
④ 삼한
➡️ 정답: ② 옥저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연맹 왕국 | 여러 소국이 한 강력한 부족장(군장) 아래 연합한 형태 |
제천 행사 | 농경 의례 + 정치적 결속 강화 목적 |
부족적 질서 | 씨족 중심 사회 유지, 혼인 규범 강조 |
철기 문화 | 고조선 멸망 후 철기 본격 확산 → 문화·군사력 강화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삼한(마한·진한·변한) → 이후 백제·신라·가야의 뿌리
- 부여의 멸망 → 5세기 고구려에 병합
- 옥저·동예 → 고구려에 흡수
- 고구려 → 정복전쟁 통해 국가체제 강화
✍️ 정리 한 줄 요약
철기의 보급은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등 여러 나라의 성장을 이끌었고, 이들 나라는 독자적인 제천 행사, 정치 구조, 사회 질서를 통해 고대 국가로 발전해 갔습니다.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105 - 삼국의 불교 수용과 율령 반포 : 왕권 강화를 위한 이념의 선택 (0) | 2025.04.20 |
---|---|
한능검 기출 사료 104 -삼국의 건국과 국가 체제 성립 :고구려·백제·신라의 출발점 (0) | 2025.04.20 |
한능검 기출 사료 102 - 위만 조선과 한 무제의 침략 : 외래 세력과 고대 국가의 충돌 (0) | 2025.04.20 |
한능검 기출 사료 101 - 고조선과 8조법 : 고대 국가의 법과 풍속을 엿보다 (0) | 2025.04.20 |
한능검 기출 100강 - 제6공화국의 출범과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 국민이 만든 나라 (2)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