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중일전쟁, 1941년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일제는 조선을 ‘병참기지’로 만들고,
수많은 조선인을 강제로 전쟁터와 군수 공장으로 끌고 갔습니다.
학병제, 징병제, 징용제, 정신대 등은
모두 제국주의 전쟁을 위한 식민지 인력 수탈 정책이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일제의 전쟁 동원과 그 피해를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계속 이어서 정리해드립니다!
한능검 기출 사료 159
강제 동원과 식민지 전쟁 – 조선인을 전쟁터로 내몬 시대
📜 기출 사료 발췌
“조선 청년들은 황군의 일원이 되어,
천황 폐하를 위해 목숨을 바칠 것을 맹세하라.”
– 학병 모집 포스터 (1943)
“강제 징용된 조선인들은 탄광, 군수 공장,
개간지 등지에서 혹사당하였다.”
– 《총독부 노동자 동원 보고서》 (1944)
“정신대에 편입된 조선 여학생들은
일본 군수공장과 위안부 시설로 보내졌다.”
– 《일제 전시동원 관련 미군 보고서》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1930~40년대 일제가 조선인을 대상으로
강제 동원 정책을 실시하면서,
청년·노동자·여성 등 전 계층을 전쟁 자원으로 수탈했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 주요 강제 동원 정책 요약
제도 시행 시기 내용
지원병제 | 1938년 | 군 복무 ‘자원’ 명목 / 경쟁 치열 |
학병제 | 1943년 | 대학생 대상 강제 징집 |
징병제 | 1944년 | 전면 강제 징집 / 일반 청년 대상 |
징용제 | 1939년~ | 광산, 공장 등 강제 노동 / 열악한 환경 |
근로정신대 | 1944년~ | 여성 대상 / 군수 공장 노동 |
위안부 | 전시기 전반 | 여성 강제 동원 / 일본군 위안소로 보내짐 |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내용과 관련된 일제의 정책으로 옳은 것은?
“조선 청년들이 전쟁터로 끌려가며, 여성과 학생까지 동원되었다.”
① 조선교육령
② 내선일체 정책
③ 강제 동원 정책
④ 보통학교 확대 정책
➡️ 정답: ③ 강제 동원 정책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지원병 | 외형상 자발적 모집 / 실제 경쟁 유도와 강요 존재 |
학병 | 학도병 / 대학생 중심 → 병력 보충 목적 |
징용 | 공사장, 공장 등 → 일본 본토까지 강제 이송 |
근로정신대 | 군수 공장·비행장 노동 / 여성·학생도 포함 |
일본군 위안부 | 조선 여성 강제 성노예화 / 국제 인권 문제로 대두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조선의 병참기지화: 산업 기반 → 군수 중심 재편
- 노동력 수탈의 결과: 과로, 사고, 사망률 급증
- 성노예 피해: 위안부는 일본군 조직적 관여 존재
- 광복 이후 과제: 보상, 진상 규명, 국제 청원 활동 진행 중
✍️ 정리 한 줄 요약
일제는 침략 전쟁에 조선을 전면적으로 동원하며,
수많은 남성은 총알받이로, 여성은 노동력과 위안부로 끌려갔고
그 상처는 지금까지도 우리 역사 속에 남아 있습니다.
📘 다음은 한능검 기출 사료 160:
광복과 분단 – 해방은 왔으나 평화는 오지 않았다 편으로 이어집니다.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160개 목차 (2) | 2025.04.26 |
---|---|
한능검 기출 사료 160(끝)- 광복과 분단 : 해방은 왔으나 평화는 오지 않았다 (2) | 2025.04.26 |
한능검 기출 사료 158 - 민족 분열 통치와 민족 말살 정책 : 이름과 언어마저 빼앗긴 시대 (1) | 2025.04.26 |
한능검 기출 사료 157 - 만주와 중국 관내의 독립군 : 무장 세력의 재편과 전투사 (6) | 2025.04.25 |
한능검 기출 사료 156 - 의열단과 한인애국단 : 폭력으로 맞선 항일 투쟁의 선봉 (3)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