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8월 15일, 일제의 패망으로
조선은 마침내 36년간의 식민 통치에서 해방됩니다.
그러나 기쁨도 잠시, 미·소 양군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면서
조선은 다시 외세의 틀 안에서 운명을 결정지어야 했습니다.
이후 좌우 대립과 냉전 구도가 격화되며,
1948년 남북에 각각 정부가 수립되고, 분단은 현실이 됩니다.
이번 강에서는 광복 이후 혼란기와 분단의 과정을
기출 사료를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한능검 기출 사료 160
광복과 분단 – 해방은 왔으나 평화는 오지 않았다
📜 기출 사료 발췌
“조선은 일본으로부터 완전한 독립국으로 해방될 것이다.”
– 카이로 선언 (1943)
“한반도 38도선을 경계로 소련군은 북부에,
미군은 남부에 진주하였다.”
– 포츠담 회담 결과 요약 (1945)
“우리는 인민의 정부를 수립하고, 조선의 완전한 자주를 이룩할 것이다.”
– 조선인민공화국 선포문 (1945.9)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과 함께 조선이 해방되었으나,
자주 정부 수립보다는 미·소에 의한 분할 점령과
이념 대립이 현실화되었음을 보여줍니다.
- 카이로 선언(1943): 연합국이 조선의 독립을 국제적으로 최초 보장
- 포츠담 회담(1945): 카이로 선언 재확인 → 이후 38도선 설정
- 미·소 분할 점령(1945.9): 38선 기준, 남북 분할 / 미군정·소련군정 실시
- 좌우 갈등 격화: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 신탁통치 논란
- 1948년 분단: 남한 – 대한민국 정부 수립(8.15),
북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9.9)
📍 광복 이후의 흐름 요약
연도 사건 내용
1943 | 카이로 선언 | “조선은 독립할 것” |
1945.8 | 일본 항복 → 광복 | 미·소 양군 진주 / 군정 실시 |
1945.9 | 조선인민공화국 선포 | 여운형 중심 / 미군정 불인정 |
1946~ | 좌우 대립 격화 | 신탁통치 찬반 논란 |
1948.8 | 대한민국 정부 수립 | 제헌 헌법 제정, 이승만 초대 대통령 |
1948.9 | 북한 정부 수립 | 김일성 중심 공산정권 → 분단 완성 |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가 의미하는 결과로 옳은 것은?
“한반도는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두 강대국이 나누어 점령하였다.”
① 광복 후 자주 정부 수립
② 독립군과 일본군의 전투
③ 미·소에 의한 분할 점령과 분단의 시작
④ 일본과의 평화 협정 체결
➡️ 정답: ③ 미·소에 의한 분할 점령과 분단의 시작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미군정 (남한) | 정치 조직 억제 / 친일 경찰·관료 재등용 |
조선인민공화국 | 여운형 주도 / 좌우 연합형 / 미군정 불인정 |
모스크바 3상회의 | 신탁통치 결정 / 국내 찬반 대립 |
남북 협상 | 1948년 김구·김규식의 평양 회담 / 성과 無 |
UN감시하 총선거 | 북측 불참 → 남한 단독 총선 → 분단 고착화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자주 독립 실패의 원인: 국제 정치(냉전) + 국내 이념 갈등
- 분단의 기원: 미·소 군정, 정치적 양극화
- 통일 시도 존재: 남북 협상(1948), 남북연석회의 → 성과 없음
- 분단의 법적 토대: 1948년 두 정부 수립으로 사실상 완성
✍️ 정리 한 줄 요약
조선은 해방되었지만 자주적으로 통일 정부를 세우지 못했고,
결국 외세의 개입과 이념 대립 속에서 남북으로 분단되고 말았습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시리즈 160편 완료!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160개 목차 (2) | 2025.04.26 |
---|---|
한능검 기출 사료 159 - 강제 동원과 식민지 전쟁 : 조선인을 전쟁터로 내몬 시대 (0) | 2025.04.26 |
한능검 기출 사료 158 - 민족 분열 통치와 민족 말살 정책 : 이름과 언어마저 빼앗긴 시대 (1) | 2025.04.26 |
한능검 기출 사료 157 - 만주와 중국 관내의 독립군 : 무장 세력의 재편과 전투사 (6) | 2025.04.25 |
한능검 기출 사료 156 - 의열단과 한인애국단 : 폭력으로 맞선 항일 투쟁의 선봉 (3)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