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66 - 강화도 조약(1876) : 조선, 세계의 문을 열다

J.J.(제이제이) 2025. 4. 16. 11:31
반응형

 

1876년 강화도 조약은 조선이 500년간 지켜온 쇄국의 문을 열고, 근대 국제 질서로 편입되는 전환점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조약은 조선이 체결한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자, 동시에 불평등 조약으로 평가받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강화도 조약의 배경, 주요 내용, 그리고 역사적 의의를 기출 사료를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66

강화도 조약(1876) – 조선, 세계의 문을 열다

 

📜 기출 사료 발췌

“조선국은 자주국이며, 일본국은 부산 외에도 인천과 원산에 개항장을 두고, 일본인은 개항장에서 자유롭게 거류하고 통상할 수 있다.”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강화도 조약(조일 수호 조규)**의 주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조약은 1875년 운요호 사건 이후 일본이 군함을 동원해 조선을 압박하며 맺게 한 것으로,
조선은 처음으로 자주국임을 인정받는 동시에 불평등 조항을 수용하게 됩니다.

특히 일본에 해안 측량권, 치외법권(영사재판권), 무관세 조항을 인정했기 때문에
이 조약은 조선이 외교 주권을 일부 상실한 사건으로 평가됩니다.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는 어떤 조약의 내용인가?
“조선국은 자주국이며, 일본인은 개항장에서 자유롭게 거류하고 통상할 수 있다.”
① 병자호란 항복문서
② 병인양요 결과
③ 강화도 조약
④ 한일 병합 조약
➡️ 정답: ③ 강화도 조약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내용

시기 1876년 (고종 13년)
배경 운요호 사건 → 일본의 무력 시위
조약 명칭 조일 수호 조규
개항장 부산, 인천, 원산 (부·인·원)
주요 내용 조선 자주국 명시, 해안 측량권, 치외법권, 무관세 등
성격 근대적 조약이자 불평등 조약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운요호 사건(1875): 일본 군함이 강화도에서 포격 도발
  • 부산은 이미 열려 있었고, 인천·원산이 새롭게 개항됨
  • 영사재판권: 일본인이 조선에서 일본 법 적용 받음
  • 해안 측량권: 일본이 조선의 지리 정보 수집 가능 → 안보 위협
  • 이후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 등 불평등 조약 연쇄 체결

 

✍️ 정리 한 줄 요약

강화도 조약은 조선이 일본과 체결한 최초의 근대적 조약으로, 자주국임을 명시했지만 동시에 불평등한 조항들로 인해 주권 침해의 시작점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