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83강 - 의열단과 한인애국단 : 죽음을 무릅쓴 항일 투사들

J.J.(제이제이) 2025. 4. 18. 14:55

일제의 식민통치가 강화되던 1920~30년대, 일부 독립운동가들은 '폭력으로 폭력에 맞선다'는 신념으로 일제 고위 인사와 주요 시설을 타격하는 의거 투쟁을 벌였습니다. 이들은 '의열단'과 '한인애국단'으로 활동하며, 강한 충격을 일제에 안겨주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들의 주요 활동과 의의,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83

의열단과 한인애국단 – 죽음을 무릅쓴 항일 투사들

 


📜 기출 사료 발췌

“나는 왜놈의 심장을 쏘았다. 그대들이 조국의 청년이라면, 반드시 조국을 위해 분투하라.”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한인애국단의 이봉창 의사가 의열 투쟁 직후 남긴 말을 바탕으로 구성된 것으로,
자신을 희생해서라도 조국 독립을 이루려는 결연한 결의를 보여줍니다.

📍 의열단 (1919~1930년대 초)

  • 1919년 김원봉이 조직 (만주 길림)
  • 암살, 폭탄 투척, 파괴 등을 통해 일본 고관·시설 공격
  • 박재혁: 부산 경찰서에 폭탄 투척
  • 김익상: 조선총독부·상하이 황포탄 투척
  • 김상옥: 종로 경찰서 습격 → 시가전 끝에 순국
  • 윤봉길: 홍커우 공원에서 일본군 고위 인사 암살

📍 한인애국단 (1931~)

  • 김구가 조직한 특수공작 단체
  • 이봉창 의사: 일본 도쿄에서 일왕 히로히토에게 수류탄 투척 (1932)
  • 윤봉길 의사: 상하이 홍커우 공원 의거 → 일본군 수뇌부 사망·부상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에서 언급된 독립운동의 방식은 무엇인가?
“나는 왜놈의 심장을 쏘았다. 그대들이 조국의 청년이라면…”
① 무장 독립군의 전투
② 평화적인 문화운동
③ 의열단 및 한인애국단의 투쟁
④ 독립신문 발간 활동
➡️ 정답: ③ 의열단 및 한인애국단의 투쟁


💡 확장 개념 정리

단체 활동 시기 주요 인물 활동 방식 대표 의거

의열단 1919~1930년대 초 김원봉, 김익상, 박재혁, 김상옥 등 폭탄 투척, 암살, 시설 파괴 조선총독부, 경찰서, 황포탄 사건
한인애국단 1931~ 김구, 윤봉길, 이봉창 고위 인사 암살 도쿄 일왕 투척(이봉창), 홍커우 공원(윤봉길)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의열단 선언: “민중 속으로 들어가 독립정신을 불어넣는다.”
  • 신채호의 조언: ‘조선 혁명선언’ 집필 → 의열단 이념적 기반 마련
  • 폭력 투쟁의 국제적 파급력: 홍커우 공원 의거는 중국·세계에 큰 반향
  • 김구의 역할: 임시정부-한인애국단 연결 / 광복군으로 연결됨

 

 

✍️ 정리 한 줄 요약

의열단과 한인애국단은 일제의 핵심 기관과 고위 인사들을 직접 공격한 무장 항일 조직으로,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걸고 행동한 투쟁의 상징이었습니다.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