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38 - 붕당 정치와 환국 : 정국이 당파의 흐름 따라 흔들리다

J.J.(제이제이) 2025. 4. 23. 16:23
반응형

이번에는 현종~숙종 대 붕당 정치의 전개와 환국 정치,
그리고 당파 간 정국 운영 방식의 변화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한능검 기출 사료 138

붕당 정치와 환국 – 정국이 당파의 흐름 따라 흔들리다

조선 후기, 사림이 주도한 붕당 정치가 정착되면서
정치적 갈등은 점차 심화되었고, 왕권과의 긴장도 커졌습니다.
특히 숙종 대에는 국왕이 정국을 주도하며 정권을 바꾸는 '환국 정치'가 나타나
붕당 간의 교체가 급격하고 빈번하게 이루어졌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붕당 정치의 전개와 환국의 등장,
그 정치적 의미를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 기출 사료 발췌

“정치는 오로지 당파에 의해 운영되고, 한 번 임금의 뜻이 바뀌면 모든 관리가 교체되니, 이것이 곧 환국이라 하였다.”
– 《숙종실록》

“남인은 허적을 중심으로 권력을 장악하였으나, 장희빈 문제로 실각하고 서인이 다시 집권하였다.”
– 《조선왕조실록》

“당파의 분열로 인하여 국론이 분열되니, 백성들은 그 폐단을 한탄하였다.”
– 《동국문헌비고》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붕당이 조선 정치의 중심으로 자리 잡으며,
왕의 의지에 따라 정권이 바뀌는 환국 정치가 시작되었음을 보여줍니다.

  • 현종 대: 예송논쟁 (기해·갑인예송) → 서인과 남인 대립 격화
  • 숙종 대: 경신환국(서인 집권) → 기사환국(남인 재집권) → 갑술환국(서인 복귀)
  • 환국 정치: 국왕이 당파 간 균형보다 선택과 교체 중심의 정국 운영

📍 붕당 정치와 환국 전개 요약

구분 내용 특징

예송논쟁 왕실 상복 문제로 서인 vs 남인 격돌 서인: 예법 중시 / 남인: 효 중심
경신환국(1680) 서인 집권 / 남인 제거 허적 음모 사건
기사환국(1689) 남인 집권 / 장희빈 세력 강화 인현왕후 폐비 사건
갑술환국(1694) 서인 재집권 / 장희빈 사사 숙빈 최씨 소생 복위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과 같은 정국 운영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왕의 의지에 따라 집권 당이 교체되고, 기존 세력은 모두 축출되었다.”
① 연립 정치
② 비변사 운영
③ 환국 정치
④ 사림 정치
➡️ 정답: ③ 환국 정치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붕당 정치 당파 간 공론 중시 / 당론에 따라 국정 운영
환국 군주 주도 / 정국 급변 / 1당 독재 형태로 변질
장희빈 기사환국 때 정치적 중심 인물 / 숙종의 후궁
인현왕후 복위 서인 중심 정국 복귀 계기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서인 → 노론·소론 분화: 이후 정쟁 더욱 격화
  • 환국의 폐단: 국정 불안정 + 공무원 인사 혼란
  • 붕당정치 초기: 공론 기반 → 이후 정쟁 중심 변질
  • 숙종의 정치 스타일: 붕당 사이 균형 아닌 선별 지지

 

✍️ 정리 한 줄 요약

조선 후기 붕당 정치는 국왕 중심의 환국 체제로 변화하면서
당파 간 균형보다는 급격한 교체와 대립이 정치 운영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 다음 139편에서는 영조·정조 대의 탕평책과 정책 개혁(균역법, 규장각 등)**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39편도 이어서 시작하실까요? 😊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