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39 - 영조·정조의 탕평 정치 : 붕당을 넘어 백성을 위한 개혁으로

J.J.(제이제이) 2025. 4. 23. 16:24
반응형

이번에는 영조·정조의 탕평 정치,
특히 탕평책의 추진, 균역법 실시, 규장각 설치 등 개혁 정책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한능검 기출 사료 139 

영조·정조의 탕평 정치 – 붕당을 넘어 백성을 위한 개혁으로

조선 후기 붕당 간의 갈등이 극에 달하자,
영조와 정조는 당파를 초월하는 정치 운영, 즉 '탕평책'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정국의 안정을 꾀했습니다.
또한 군역·재정·행정 전반에 걸쳐 다양한 개혁을 실시하며
국가의 실질적 운영 능력을 높이고자 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영·정조의 탕평 정책과 대표 개혁 조치들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 기출 사료 발췌

“당론을 타파하고 인재를 고루 등용하되, 정당한 의견을 중심으로 삼도록 하라.”
– 《영조실록》

“백성들의 군역 부담을 덜고자 군포를 1년에 한 필로 줄이고, 균역청을 설치하였다.”
– 《조선왕조실록》 영조조

“규장각을 설치하여 학문을 진흥시키고, 정치를 자문하게 하였다.”
– 《정조실록》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영조와 정조가 붕당 정치를 완화하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하고,
군역제 개편과 학문 진흥을 통해 실질적인 정치 안정과 개혁을 꾀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 완론 탕평(영조): 노론 위주, 그러나 일부 소론·남인도 등용
  • 준론 탕평(정조): 역량 중심 인사 → 강한 왕권 기반
  • 균역법(1750): 군포 부담 2필 → 1필로 경감 → 결작과 어염세 등 보충
  • 규장각 설치(1776): 정치 자문 + 문신 양성 → 왕권 보좌 + 학문 진흥

📍 영조·정조의 주요 개혁 정책 요약

구분 정책 내용 목적

영조 완론 탕평 당파 구분 없이 온건한 인재 등용 정국 안정
      균역법 군포 1필로 경감, 결작 부과 군역 부담 완화
      속대전 편찬 경국대전 보완 법제 정비
정조 준론 탕평 실력·충성 기준 인재 등용 왕권 강화
      규장각 설치 정치 자문 기구 + 초계문신제 학문·정치 발전
      수원 화성 축조 국방 + 행정 중심지 왕권 실현 공간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내용과 관련된 왕은 누구인가?
“군역의 폐단을 개혁하고자 군포 징수를 1년에 한 필로 줄이고, 대신 결작 등을 거두었다.”
① 태종
② 영조
③ 정조
④ 순조
➡️ 정답: ② 영조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설명

탕평책 당파 구분 없이 인재 등용 → 정치 갈등 완화 시도
균역법 군역 대상자 감소 → 국가 재정 보완 필요
결작 지주에게 부과된 세금 / 균역법 보충책
초계문신제 정조가 규장각 문신에게 학문 훈련 시킴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사도세자 사건(영조) → 왕권과 붕당 간 충돌의 상징
  • 정조의 개혁 성향: 실학 장려 + 상공업 진흥
  • 장용영 설치: 친위 군사 조직 → 왕권 방어
  • 규장각 검서관: 박제가, 이덕무, 서이수 등 실학자 기용

 

✍️ 정리 한 줄 요약

영조와 정조는 붕당 정치의 폐단을 줄이기 위해 탕평책을 추진했고,
균역법과 규장각 설치 등 실질적 개혁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정치의 안정을 도모했습니다.


📘 다음 140편에서는 조선 후기 실학의 등장과 유형별 사상가들(농촌·경제·역사 실학 등)**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40편도 이어서 시작하실까요? 😊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