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영조·정조의 탕평 정치,
특히 탕평책의 추진, 균역법 실시, 규장각 설치 등 개혁 정책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한능검 기출 사료 139
영조·정조의 탕평 정치 – 붕당을 넘어 백성을 위한 개혁으로
조선 후기 붕당 간의 갈등이 극에 달하자,
영조와 정조는 당파를 초월하는 정치 운영, 즉 '탕평책'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정국의 안정을 꾀했습니다.
또한 군역·재정·행정 전반에 걸쳐 다양한 개혁을 실시하며
국가의 실질적 운영 능력을 높이고자 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영·정조의 탕평 정책과 대표 개혁 조치들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 기출 사료 발췌
“당론을 타파하고 인재를 고루 등용하되, 정당한 의견을 중심으로 삼도록 하라.”
– 《영조실록》
“백성들의 군역 부담을 덜고자 군포를 1년에 한 필로 줄이고, 균역청을 설치하였다.”
– 《조선왕조실록》 영조조
“규장각을 설치하여 학문을 진흥시키고, 정치를 자문하게 하였다.”
– 《정조실록》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영조와 정조가 붕당 정치를 완화하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하고,
군역제 개편과 학문 진흥을 통해 실질적인 정치 안정과 개혁을 꾀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 완론 탕평(영조): 노론 위주, 그러나 일부 소론·남인도 등용
- 준론 탕평(정조): 역량 중심 인사 → 강한 왕권 기반
- 균역법(1750): 군포 부담 2필 → 1필로 경감 → 결작과 어염세 등 보충
- 규장각 설치(1776): 정치 자문 + 문신 양성 → 왕권 보좌 + 학문 진흥
📍 영조·정조의 주요 개혁 정책 요약
구분 정책 내용 목적
영조 | 완론 탕평 | 당파 구분 없이 온건한 인재 등용 | 정국 안정 |
균역법 | 군포 1필로 경감, 결작 부과 | 군역 부담 완화 | |
속대전 편찬 | 경국대전 보완 | 법제 정비 | |
정조 | 준론 탕평 | 실력·충성 기준 인재 등용 | 왕권 강화 |
규장각 설치 | 정치 자문 기구 + 초계문신제 | 학문·정치 발전 | |
수원 화성 축조 | 국방 + 행정 중심지 | 왕권 실현 공간 |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내용과 관련된 왕은 누구인가?
“군역의 폐단을 개혁하고자 군포 징수를 1년에 한 필로 줄이고, 대신 결작 등을 거두었다.”
① 태종
② 영조
③ 정조
④ 순조
➡️ 정답: ② 영조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설명
탕평책 | 당파 구분 없이 인재 등용 → 정치 갈등 완화 시도 |
균역법 | 군역 대상자 감소 → 국가 재정 보완 필요 |
결작 | 지주에게 부과된 세금 / 균역법 보충책 |
초계문신제 | 정조가 규장각 문신에게 학문 훈련 시킴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사도세자 사건(영조) → 왕권과 붕당 간 충돌의 상징
- 정조의 개혁 성향: 실학 장려 + 상공업 진흥
- 장용영 설치: 친위 군사 조직 → 왕권 방어
- 규장각 검서관: 박제가, 이덕무, 서이수 등 실학자 기용
✍️ 정리 한 줄 요약
영조와 정조는 붕당 정치의 폐단을 줄이기 위해 탕평책을 추진했고,
균역법과 규장각 설치 등 실질적 개혁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정치의 안정을 도모했습니다.
📘 다음 140편에서는 조선 후기 실학의 등장과 유형별 사상가들(농촌·경제·역사 실학 등)**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40편도 이어서 시작하실까요? 😊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141 - 세도 정치와 민란 : 무너진 질서, 분노한 백성 (0) | 2025.04.23 |
---|---|
한능검 기출 사료 140 - 조선 후기 실학 : 현실에서 답을 찾다 (5) | 2025.04.23 |
한능검 기출 사료 138 - 붕당 정치와 환국 : 정국이 당파의 흐름 따라 흔들리다 (0) | 2025.04.23 |
한능검 기출 사료 137- 정묘·병자호란과 북벌론 : 명분을 지키다, 실리를 놓치다 (0) | 2025.04.23 |
한능검 기출 사료 136 - 광해군의 전후 복구와 대동법 : 실리 외교와 조세 개혁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