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흥선대원군의 집권과 개혁 정책,
특히 서원 철폐, 군제 개편, 경복궁 중건, 통상 수교 거부 정책 등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한능검 기출 사료 142
흥선대원군의 개혁 – 왕권 회복과 통상 거부의 시대
19세기 중반, 세도 정치로 무너진 조선의 체제를 수습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등장한 인물이 흥선대원군입니다.
그는 서원을 대폭 정리하고 군제를 개편했으며,
경복궁을 중건하여 왕실 권위를 회복하려 했습니다.
또한 서양 세력과의 외교를 거부하며 척사 사상을 강화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흥선대원군의 주요 개혁 조치들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봅니다.
📜 기출 사료 발췌
“서원을 대거 철폐하고, 그 전답과 노비를 몰수하여 국가 재정에 보탰다.”
– 《조선왕조실록》 고종조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자 경복궁 중건을 추진하였고, 그 재원은 당백전과 원납전을 통해 마련하였다.”
– 《승정원일기》
“서양 오랑캐의 통상 요구는 모두 배척하고, 척사에 힘쓸 것을 명하였다.”
– 《통상수교거부비문》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흥선대원군이 왕권을 강화하고 국가 재정을 정비하기 위해
서원 철폐와 경복궁 중건, 군제 개편 등의 개혁을 추진했으며,
외세의 통상 요구를 거부한 척사 정책을 펼쳤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 서원 철폐(1860년대 중반): 전국 600여 개 서원 중 47개만 존치
- 경복궁 중건(1865~1872): 왕실 권위 회복 목적 / 당백전 발행 → 물가 폭등
- 군제 개편: 5군영 → 2영 체제로 개편 → 무위영·장어영
- 통상 수교 거부 정책: 병인양요(1866), 신미양요(1871) 대응
- 척화비 건립: "서양 오랑캐와 화친을 맺는 자는 반역으로 간주한다"
📍 흥선대원군의 개혁 요약
분야 내용 목적
서원 철폐 | 면세·면역 특권 철폐, 교육 기능 유지 일부만 존치 | 지방 사족 약화, 재정 확보 |
군제 개편 | 5군영 폐지 → 2영 체제 개편 | 군비 효율화 |
경복궁 중건 | 왕실 권위 회복 / 재원: 당백전·원납전 | 왕권 상징 |
척사 정책 | 통상 요구 거부, 외세 배척 | 전통 질서 수호 |
비변사 폐지 | 국정 개입 폐해 제거 → 의정부·삼군부 중심 복구 | 중앙 통치 체계 회복 |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과 같은 정책을 시행한 인물은 누구인가?
“서원을 정리하고, 경복궁을 중건하였으며, 외세와의 통상을 거부하였다.”
① 정조
② 김좌진
③ 흥선대원군
④ 대원군 이하응
➡️ 정답: ③ 흥선대원군 (이하응)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설명
당백전 | 경복궁 재원 확보 위해 발행한 고액 화폐 / 물가 폭등 유발 |
원납전 | 강제 헌납금 형태 / 상민 반발 |
척화비 | 신미양요 후 전국에 설치 / 통상 거부 상징 |
병인양요(1866) | 프랑스군 강화도 침입 → 외규장각 도서 약탈 |
신미양요(1871) | 미국군 강화도 침입 → 어재연 장군 전사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대전회통, 육전조례 편찬 → 법제 정비
- 왕실 중심 통치 강화 → 고종 즉위 후 대리청정
- 척사파의 성장 기반 제공 → 이후 개화파와 갈등
- 근대화 지체 원인 중 하나 → 하지만 내부 개혁은 분명한 성과
✍️ 정리 한 줄 요약
흥선대원군은 왕권 강화를 위해 서원 철폐, 군제 개편, 경복궁 중건 등의 개혁을 단행하였고,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통해 전통 질서를 지키고자 했습니다.
📘다음 143편에서는 조선의 개항과 강화도 조약, 그리고 개화 정책의 시작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43편도 바로 이어서 시작하실까요? 😊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144 - 개화 정책과 위정척사 운동 : 전통을 지킬 것인가, 문을 열 것인가 (0) | 2025.04.24 |
---|---|
한능검 기출 사료 143 - 강화도 조약 : 조선, 바다를 열다 (4) | 2025.04.24 |
한능검 기출 사료 141 - 세도 정치와 민란 : 무너진 질서, 분노한 백성 (0) | 2025.04.23 |
한능검 기출 사료 140 - 조선 후기 실학 : 현실에서 답을 찾다 (5) | 2025.04.23 |
한능검 기출 사료 139 - 영조·정조의 탕평 정치 : 붕당을 넘어 백성을 위한 개혁으로 (1)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