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43 - 강화도 조약 : 조선, 바다를 열다

J.J.(제이제이) 2025. 4. 24. 14:27
반응형

이번에는 강화도 조약 체결과 조선의 개항,
그리고 이후 근대적 개혁 시도의 시작점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한능검 기출 사료 143

강화도 조약 – 조선, 바다를 열다

1876년 강화도 앞바다에 일본 군함이 나타나면서,
조선은 500년 조선왕조 이래 처음으로 외세와 정식 조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이 조약은 조선의 첫 근대적 조약이었지만,
불평등한 내용이 많아 이후 주권 침해의 단초가 되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강화도 조약의 체결 과정과 주요 조항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기출 사료 발췌

“일본은 조선이 자주국임을 인정하고, 외교관계를 수립한다.”
– 《조일수호조규 제1조》

“부산·원산·인천 세 항구를 개항하고, 일본 상인의 자유로운 통상을 허락한다.”
– 《조일수호조규부록》

“일본 선박은 조선 연안에서 자유롭게 측량할 수 있으며, 해도 제작을 허용한다.”
– 《조일수호조규속약》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강화도 조약(조일수호조규, 1876)**이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불평등 조약임을 보여줍니다.

  • 조선 자주국 규정: 조선이 청의 속국이 아님을 전제로 → 청과 조선 관계 약화 시도
  • 개항 조치: 부산(즉시), 원산·인천(2년 내) 개항 → 일본 상인의 활동 확대
  • 치외법권(영사재판권): 일본인이 조선 내에서 일본 법 적용
  • 해안 측량권 허용: 군사적 침투 가능성 확대

📍 강화도 조약의 주요 조항 요약

조항 내용 의의

제1조 조선은 자주국 → 청과의 전통 관계 부정 일본의 침투 명분
개항 조치 부산·원산·인천 개항 통상 확대, 주권 제한
치외법권 일본인이 조선법 아닌 일본법 적용 조선 사법권 침해
해안 측량권 일본의 군사적 목적 측량 허용 안보 위협
무관세 조항 없음 후속 부속 조약에 포함 일본 경제 우위 확보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조약 체결로 인한 결과로 옳은 것은?
“조선은 자주국임을 선언하고, 일본과 외교를 맺으며 항구를 개항하였다.”
① 조선이 청의 속국으로 복귀하였다
② 조선이 일본에 군사 파병을 요청하였다
③ 조선이 근대 국제법에 따라 외교를 시작하였다
④ 조선의 경제 주권과 사법 주권이 침해되었다
➡️ 정답: ④ 조선의 경제 주권과 사법 주권이 침해되었다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운요호 사건(1875) 일본 군함이 강화도에서 포격 → 조약 강제 배경
조일수호조규부록 일본 상인 자유 통상 허용
조일수호조규속약 해안 측량권 허용 / 일본 화폐 사용 인정
근대적 조약이자 불평등 조약 조선의 근대 외교 시작 + 일본 침탈의 시작점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조선의 근대 문 열기: 자주 개항 아닌 '강제 개항'
  • 청과의 관계 변화: 전통적 책봉 질서 흔들림
  • 후속 조약들: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1882) 등
  • 개화와 척사의 갈등 출발점: 개항 → 개화정책 vs 위정척사 운동

 

✍️ 정리 한 줄 요약

강화도 조약은 조선이 외세와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었지만,
치외법권·해안 측량권 등 불평등 조항으로 주권 침해의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 다음 144편에서는 개화 정책의 추진과 위정척사 운동의 전개(온건·급진 개화파)**를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44편도 이어서 시작하실까요? 😊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