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강화도 조약 체결과 조선의 개항,
그리고 이후 근대적 개혁 시도의 시작점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한능검 기출 사료 143
강화도 조약 – 조선, 바다를 열다
1876년 강화도 앞바다에 일본 군함이 나타나면서,
조선은 500년 조선왕조 이래 처음으로 외세와 정식 조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이 조약은 조선의 첫 근대적 조약이었지만,
불평등한 내용이 많아 이후 주권 침해의 단초가 되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강화도 조약의 체결 과정과 주요 조항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기출 사료 발췌
“일본은 조선이 자주국임을 인정하고, 외교관계를 수립한다.”
– 《조일수호조규 제1조》
“부산·원산·인천 세 항구를 개항하고, 일본 상인의 자유로운 통상을 허락한다.”
– 《조일수호조규부록》
“일본 선박은 조선 연안에서 자유롭게 측량할 수 있으며, 해도 제작을 허용한다.”
– 《조일수호조규속약》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강화도 조약(조일수호조규, 1876)**이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불평등 조약임을 보여줍니다.
- 조선 자주국 규정: 조선이 청의 속국이 아님을 전제로 → 청과 조선 관계 약화 시도
- 개항 조치: 부산(즉시), 원산·인천(2년 내) 개항 → 일본 상인의 활동 확대
- 치외법권(영사재판권): 일본인이 조선 내에서 일본 법 적용
- 해안 측량권 허용: 군사적 침투 가능성 확대
📍 강화도 조약의 주요 조항 요약
조항 내용 의의
제1조 | 조선은 자주국 → 청과의 전통 관계 부정 | 일본의 침투 명분 |
개항 조치 | 부산·원산·인천 개항 | 통상 확대, 주권 제한 |
치외법권 | 일본인이 조선법 아닌 일본법 적용 | 조선 사법권 침해 |
해안 측량권 | 일본의 군사적 목적 측량 허용 | 안보 위협 |
무관세 조항 없음 | 후속 부속 조약에 포함 | 일본 경제 우위 확보 |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조약 체결로 인한 결과로 옳은 것은?
“조선은 자주국임을 선언하고, 일본과 외교를 맺으며 항구를 개항하였다.”
① 조선이 청의 속국으로 복귀하였다
② 조선이 일본에 군사 파병을 요청하였다
③ 조선이 근대 국제법에 따라 외교를 시작하였다
④ 조선의 경제 주권과 사법 주권이 침해되었다
➡️ 정답: ④ 조선의 경제 주권과 사법 주권이 침해되었다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운요호 사건(1875) | 일본 군함이 강화도에서 포격 → 조약 강제 배경 |
조일수호조규부록 | 일본 상인 자유 통상 허용 |
조일수호조규속약 | 해안 측량권 허용 / 일본 화폐 사용 인정 |
근대적 조약이자 불평등 조약 | 조선의 근대 외교 시작 + 일본 침탈의 시작점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조선의 근대 문 열기: 자주 개항 아닌 '강제 개항'
- 청과의 관계 변화: 전통적 책봉 질서 흔들림
- 후속 조약들: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1882) 등
- 개화와 척사의 갈등 출발점: 개항 → 개화정책 vs 위정척사 운동
✍️ 정리 한 줄 요약
강화도 조약은 조선이 외세와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었지만,
치외법권·해안 측량권 등 불평등 조항으로 주권 침해의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 다음 144편에서는 개화 정책의 추진과 위정척사 운동의 전개(온건·급진 개화파)**를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44편도 이어서 시작하실까요? 😊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145 -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 구체제와 신체제의 충돌 (0) | 2025.04.24 |
---|---|
한능검 기출 사료 144 - 개화 정책과 위정척사 운동 : 전통을 지킬 것인가, 문을 열 것인가 (0) | 2025.04.24 |
한능검 기출 사료 142 - 흥선대원군의 개혁 : 왕권 회복과 통상 거부의 시대 (4) | 2025.04.23 |
한능검 기출 사료 141 - 세도 정치와 민란 : 무너진 질서, 분노한 백성 (0) | 2025.04.23 |
한능검 기출 사료 140 - 조선 후기 실학 : 현실에서 답을 찾다 (5)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