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23

그림산책 #43 :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렉, 《페르낭도 서커스의 여자 곡마사》(1888)

🎨 그림산책 #43앙리 드 툴루즈 로트렉, 《페르낭도 서커스의 여자 곡마사》(1888)Henri de Toulouse-Lautrec, At The Cirque Fernando The Ringmaster, 1888 🖼 작품 정보작품명: 페르낭도 서커스의 여자 곡마사(At The Cirque Fernando The Ringmaster)작가: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렉 (Henri de Toulouse-Lautrec)제작연도: 1888년기법: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크기: 98 × 161 cm소장처: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Art Institute of Chicago)🔗 Art Institute of Chicago 홈페이지 보기🎪 환상의 서커스, 현실의 무대앙리 드 툴루즈 로트렉은 1..

오늘의 미사 말씀 묵상(2025년 5월 16일) - 예수님, 우리의 길이요 진리요 생명

오늘 매일미사 말씀 요약과 묵상1. 제1독서 요약 (사도행전 13,26-33)바오로 사도는 피시디아 안티오키아 회당에서 아브라함의 후손들과 하느님을 경외하는 이들에게 구원의 소식을 전합니다. 예루살렘 주민들과 지도자들은 예수님을 알아보지 못하고, 예언자들의 예언대로 그분을 십자가에 못 박아 죽였습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죽은 이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시고, 그를 통해 조상들에게 하신 구원의 약속을 실현하셨음을 선포합니다. 예수님은 하느님의 아들이심이 시편의 말씀으로도 증명됩니다.2. 복음 요약 (요한 14,1-6)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의 마음이 불안하지 않도록 위로하시며, 하느님과 자신을 믿으라고 말씀하십니다. 아버지의 집에는 많은 거처가 있으며,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위해 자리를 마련하러 가신다고 ..

때죽나무 병충해 및 방제

🔍 1. 병해 방제 방법✅ 잎마름병 (Leaf Blight) **때죽나무 잎마름병(Leaf Blight)**의 주요 병원균은 Botryosphaeria dothidea와 **Phyllosticta spp.**입니다. 🔍 병원균 설명Botryosphaeria dothidea분류: 불완전균류(Ascomycota)특징:나무의 잎, 가지, 줄기에 침투하여 갈색 반점을 일으키고 점차 마르게 만듭니다.건조한 환경에서 병이 빠르게 확산되며, 가지 마름과 낙엽을 유발합니다.심할 경우 가지가 말라 죽고, 수피에 균핵이 형성되기도 합니다.Phyllosticta spp.분류: 불완전균류(Ascomycota)특징:잎에 원형의 갈색 반점을 형성하며, 점차 중앙이 회백색으로 변합니다.주로 늦여름에서 초가을에 발생하기 쉬우며..

나무 #1 : 때죽나무

때죽나무(Styrax japonicus)는 때죽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 분포합니다. 5월에서 6월 사이에 순백색 종 모양의 꽃이 아래를 향해 피며, 은은한 향기가 특징입니다. 열매는 가을에 성숙하며, 삭과 형태로 단단한 갈색 껍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원이나 정원에서 관상수로 많이 심어지며, 목재는 가구나 도구 제작에 활용됩니다. 생육 환경은 배수가 잘 되는 토양과 충분한 햇빛이 필요합니다. 5월 15일 필자가 만난 때죽나무. 1. 분류과: 때죽나무과 (Styracaceae)속: 때죽나무속 (Styrax)학명: Styrax japonicus영문명: Japanese Snowbell2. 형태적 특징교목 또는 관목: 중형 낙엽성 교목으로 자라며, 보통 5~..

비하인드 한국사#10: 고려사에서 기록된 최충헌의 권력 장악 과정

고려사에서 기록된 최충헌의 권력 장악 과정최충헌은 고려 무신정권의 4대 집권자이자, 무신정권 체제를 안정적으로 구축한 핵심 인물로 평가받습니다. 그는 단순히 권력을 장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체제 개혁과 권력 구조의 재편을 통해 무신정권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충헌이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과 그의 정치적 전략, 그리고 그가 남긴 유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1. 최충헌의 배경과 무신정권의 시작최충헌은 1149년(의종 3년)에 태어나 1219년(고종 6년)에 사망한 무신입니다. 그는 고려 후기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 속에서 등장했습니다. 1170년 무신정변 이후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등 여러 무신들이 권력을 차례로 잡았지만, 이들은 서로를 제거하며 정권을 유지하는 데 실패했습니다. 이러한 혼란..

비하인드 한국사#9: 최영 장군의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명언과 그 진실

최영 장군의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명언과 그 진실고려 말 명장 최영 장군의 이름과 함께 자주 언급되는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라는 명언은 많은 이들에게 청렴과 절제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그러나 이 유명한 말의 진실과 그 의미에 대해 더 깊이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명언의 기원"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말은 흔히 최영 장군이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그의 아버지 최원직이 남긴 유언이라고 합니다. 의 최영 열전에 따르면, 최영이 16세였을 때 아버지가 임종을 앞두고 "너는 금 보기를 돌 같이 해야 한다"고 훈계했다고 전해집니다.최영은 이 말을 평생 가슴에 새기고 살았다고 합니다. 그는 집과 재물에 관심을 두지 않았으며, 청렴결백한 삶을 살았다고 전해집니다. 이러한 그의 성..

비하인드 한국사 #8: 고구려 안학궁의 비밀스러운 건축 기술

고구려 안학궁의 비밀스러운 건축 기술고구려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 중 하나로, 군사적 위용뿐만 아니라 뛰어난 건축 기술로도 유명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안학궁은 고구려의 건축 기술과 미학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적지입니다. 이 글에서는 안학궁의 구조와 설계, 그리고 숨겨진 건축 기술의 비밀을 탐구해 보겠습니다. 1. 안학궁의 역사적 배경안학궁은 고구려가 평양으로 천도한 이후(427년)부터 사용된 왕궁으로, 대성산 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궁성은 한 변이 약 622m, 둘레가 2.488km에 달하며, 전체 면적은 약 38만㎡로 당시 삼국시대 궁궐 중 가장 웅장한 규모를 자랑합니다. 안학궁은 고구려 왕실의 정치적 중심지이자 문화적 상징으로 기능했으며, 567년 장안성으로 천도하기 전까지 왕궁으로..

비하인드 한국사 #7: 삼국시대 불교 전파 과정의 정치적 의도

삼국시대 불교 전파 과정의 정치적 의도삼국시대 불교의 전파는 단순한 종교적 현상이 아닌, 당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정치적 의도가 깊이 내재된 역사적 사건이었습니다. 각국의 왕실은 불교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국가 통합을 이루고자 했으며, 이는 동아시아 국제 정세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오늘은 삼국의 불교 수용 과정과 그 이면에 숨겨진 정치적 의도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고구려: 선제적 불교 수용과 왕권 강화고구려는 372년 소수림왕 2년에 전진(前秦)으로부터 순도(順道)를 통해 공식적으로 불교를 받아들였습니다. 이는 삼국 중 가장 이른 시기의 불교 수용이었습니다.정치적 의도왕권 강화: 소수림왕은 불교를 통해 자신의 권위를 신성화하고자 했습니다. 불교의 수용은 왕이 천신(天神)의 아들이라는 ..

비하인드 한국사 #6: 신라 화랑도의 실제 역할과 정치적 영향

신라 화랑도의 실제 역할과 정치적 영향신라의 화랑도는 단순한 청년 집단이 아닌, 국가의 핵심 인재 양성 제도이자 정치·군사·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독특한 조직이었습니다. 오늘은 화랑도의 실제 역할과 신라 사회에 미친 정치적 영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화랑도의 기원과 발전화랑도의 정확한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지만, 대체로 신라의 고유한 청소년 집단에서 시작되어 점차 체계화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진흥왕 37년(576년)에 공식적으로 설치되었다고 하지만, 이미 그 이전부터 유사한 형태의 조직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화랑도는 5세기부터 고구려의 영향과 초원 유목 문화를 수용하면서 발전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특히 고구려의 '조의선인'이라는 수행자 군사 집..

그림산책 #42 : 폴 고갱, 《해변의 말 타는 사람들》(1902)

🎨 그림산책 #42폴 고갱, 《해변의 말 타는 사람들》(1902)Paul Gauguin, Riders on the Beach, 1902 🖼 작품 정보작품명: 해변의 말 타는 사람들 (Riders on the Beach)작가: 폴 고갱 (Paul Gauguin)제작연도: 1902년기법: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크기: 73 × 92 cm소장처: 그리스 스타브로스 니아르코스 컬렉션 (Stavros Niarchos Collection, Greece) 🌊 이국적인 해변, 말과 사람들폴 고갱의 타히티 시절,그는 전통적인 유럽 회화의 경계를 넘어이국적이고 원시적인 풍경을 담았습니다.〈해변의 말 타는 사람들〉 역시핑크빛 모래 위에서말을 타고 있는 남녀의 모습이자유롭고 생동감 넘치게 그려졌습니..

반응형

관련 글